" 지방쓰는법 " 많이 검색하는 이유는!?! 제가 요약해서 알려드릴게요 ~~~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지방 쓰는 법'은?…'홍동백서·좌포우혜·두동미서·어동육서' 알아야, 이투데이

  1. 설날 명절을 맞아 차례상 차리는 방법, 지방 쓰는 법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민족 대명절 중 하나인 설날을 맞아 아침 차례상을 차리다 보면 '올바른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지방 쓰는 법'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된다.
  2. 매년 명절마다 차례상과 지방 쓰는 법을 확인하지만 그래도 익숙해지지 않기 때문이다.우선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전통 차례상 차림법에 따라 '홍동백서', '좌포우혜', '두동미서', '어동육서' 등을 알아두면 차리기 쉽다.1열에는 시접, 잔반(술잔·받침대)를 놓고 설날 차례상에는 떡국을 올린다.2열에는 '어동육서', '두동미서'를 주의해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 등이 놓인다.
  3. 이때 다른 과일을 추가로 올릴 때는 '홍동백서'(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유의하면 된다.특히 차례상을 준비할 때는 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 자가 들어가는 것은 쓰지 않으며, 고추가루와 마늘 양념도 사용하지 않는다.설날 차례상에 지방 쓰는 방법은 폭 6cm 정도, 길이 22cm 정도의 한지(백지)를 사용한다.

Source: 이투데이


설 차례 앞두고 지방쓰는법 화제…관계에 따라 다른 신기한 지방, 국제신문

  1. 네이버 백과사전 제공)
  2. 네이버 백과사전 제공)
  3. 이와 같은 방법으로 민족대명절인 설을 맞아 조상님들에게 예를 표할 수 있다.

Source: 국제신문


지방 쓰는 법부터 오프라인 모임까지...설 연휴 알아두면 유용한 앱, 이뉴스투데이

  1. '제사의 달인'은 일반적인 상차림 방법에서부터 제사 순서, 지방 쓰는 방법 등을 지역별로 알아보기 쉽게 정리한 앱이다. 기일을 제사 달력에 간편하게 등록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음력 날짜도 함께 제공한다. 이 앱은 구글플레이 기준 50만 건 이상의 다운로드 수와 4.2의 높은 평점을 기록하며 명절, 제사 때마다 유저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2. 정성이 담긴 음식을 차례상에 올리고 여러 친척들과 나눠먹는 명절에는 음식 준비에 부담이 앞선다. 이럴 때 다양한 종류의 음식 레시피를 제공하는 '해먹남녀'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해먹남녀에는 '파티·명절요리' 카테고리가 있어 여러 번 검색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명절 음식 레시피를 찾을 수 있다. 레시피를 단순히 텍스트로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 '움짤'로도 제공해 요리가 서툰 사용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다. 해먹남녀는 구글플레이 기준 1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하고 4.8의 평점을 기록하며 사용자들 사이에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3. 이 앱은 새로운 사람들과 소소한 즐거움을 찾으려는 유저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으며 구글플레이 기준 10만 이상의 다운로드 수와 평점 4.6을 기록하고 있다.

Source: 이뉴스투데이


차례상 차리는 법, 지방 쓰는 법 ‘오른쪽 어머니 왼쪽 아버지 신위’, 국제신문

  1. 명절마다 차례상을 차리지만 홍동백서(紅東白西), 어동육서(魚東肉西) 같은 차례상 차리는 방법, 지방 쓰는 법은 늘 아리송하다다.지방은 제사를 지낼 때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는 단독으로 지내니 지방에도 한 분만 쓴다.
  2.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 祭主)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를 적고,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는다.
  3. 봉사자는 오른쪽으로부터 마지막 줄에 기록한다.제사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이라고 본다.

Source: 국제신문


설 지방쓰는법, "관계·직위·이름·신위 순서로", 국제뉴스

  1. 지방은 붓을 이용해 세로로 적게 되는데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祭主, 제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고인의 자리(신위)의 순서로 적는다.
  2. 부모님 두 분이 돌아가셨을 경우에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쓰면되는데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적는다.
  3. 조상의 경우에도 지방에 쓸 조상이 두 분 이상이라면 왼쪽에 남자 조상을 쓰고 오른쪽에 여자 조상을 쓰면된다.

Source: 국제뉴스


지방 쓰는 법, 이것만 알면 어렵지 않다, 아주경제

  1.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쓰고, 제주(제사를 모시는 사람)와 관계, 고인의 직위, 부군(府君) 또는 고인의 본관과 성씨, 신위(神位) 순으로 쓰면 된다.
  2. 관계 뒤에 적는 직위는 벼슬을 지냈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에 벼슬 이름을 쓰면 된다.
  3. 벼슬 뒤에는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이라 쓰고,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적으면 된다.

Source: 아주경제


지방쓰는법-제사순서-친척호칭 '곤욕', '제사의 달인', '해피트리'가 도와준다, 한강타임즈

  1. [한강타임즈] 구글플레이가 15일 설 연휴에 제사순서, 지방쓰는 법등을 알려주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제사의 달인' 앱을 소개했다.
  2. ‘제사의 달인’ 앱은 제사상차림부터 제사 순서, 지방 쓰는법 등을 지역별로 알아보기 쉽게 정리한 앱이다.
  3. 한편 지방쓰는법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설 연휴 어플은 구글플레이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Source: 한강타임즈


뉴스의 모든 저작권은 각 신문사에 있으며, 본 요약정보는 실시간 흐름 공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글 내용에 포함된 신문기사는 사실보도를 한 신문의 내용을 3줄요약 합니다.
>글 저작권과 3줄 요약 관련 확인하기


출처 6개 신문사
한강타임즈 국제뉴스 이투데이 이뉴스투데이 국제신문 아주경제

자료 출처:네이버 뉴스


+ Recent posts